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nocturn] 제로 에너지...


`제로 에너지` 글로벌 경쟁

매일경제 | 입력 2009.09.20 18:03 | 수정 2009.09.21 07:23

◆ Greenomics 제3부 - 삶의 공간부터 그린화 ① ◆

'제로 에너지 하우스(빌딩)'를 향한 전 세계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벌써부터 강력하게 의무 규정으로 채택하는 사례가 있는가 하면 아직 권장ㆍ자율 사항으로 느슨하게 묶어두는 곳도 있다. 그러나 선진국일수록 에너지 비용을 줄이지 않으면 안 된다는 공감대가 광범위하게 형성되고 있다.

유럽은 건물의 에너지절약 정책을 의무화했다.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은 공통된 건물 에너지절약 정책을 수립해 내년 중 건물 에너지 소비를 현재보다 22% 절감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또한 건물 신축과 거래 시 에너지효율 인증을 의무화했다.

더 나아가 EU의회는 2019년부터 EU 내에서 지어지는 모든 신규 건물을 대상으로 건물 내에서 소비하는 에너지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생산하도록 규정했다. 한마디로 모든 신축 건물의 '제로 에너지화'를 의무화한 것이다.

선언적인 규정에만 그치지 않았다. 재원 마련도 고민해 정부의 역할까지 구체적으로 규정했다. 이를 위해 2011년 중순까지 모든 EU 회원국은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것과 관련된 시설에 어떻게 재정 지원을 할 것인지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일본 역시 유럽 못지않은 속도와 수준으로 '제로 에너지 하우스'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 지난해 6월 G8 정상회담에서 '제로 에미션 하우스(Zero Emission House)'를 공개한 바 있다. 건설업체 세키수이를 비롯해 마쓰시타 샤프 등 일본을 대표하는 41개 건축업체와 전자업체들이 대부분 참여했다.

이미 태양광발전과 진공단열재, 가정용 연료전지, LED조명 등 주거 공간 에너지를 '제로'로 만들기 위한 일본 첨단 기술은 '실용화' 단계에 와 있다는 분석이다.

유럽에 비해 다소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아온 미국은 버락 오바마 정부가 들어서면서 2020년에 '제로 에너지 하우스'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뉴욕 맨해튼의 대표적인 마천루 가운데 하나인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의 경우 앞으로 에너지 소비를 현재의 38% 수준까지 줄이고 이를 통해 연간 440만달러의 비용을 감축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제로 에너지 하우스를 향한 경쟁에는 개도국과 신흥국도 예외가 아니다. 중국과 인도는 냉난방과 전등, 단열재 등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과 관련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지금까지 세계 각국 '제로 에너지 하우스'의 기본 패턴은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다. 단열과 절감을 통해 에너지 소모를 줄이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러나 앞으로는 태양광발전 시스템과 태양열 급탕 시스템, 지열 시스템, 풍력발전 시스템 등 신재생에너지를 적극 활용해 에너지 자립이 가능한 '액티브 하우스(active house)'로 방향을 틀고 있는 분위기다.

[특별취재팀=김경도 팀장 / 이향휘 기자 / 장용승 기자 / 문수인 기자 / 서진우 기자 / 안정훈 기자]